• 최종편집 2024-03-25(월)

노년의 숭고한 의무와 공동현존재적 삶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6.02.1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젊은이들에게 유연하며 너그러운 미소를 머금은 삶의 자세를 보여주어야 한다.
 
나이를 먹을수록 근력은 약해지고 이성과 감정의 통제 능력도 현저하게 떨어진다. 이런 이유로 젊은이들의 속도와 기계 문명의 변화에 잘 따라가지 못한다.
 
여유롭고 이해심이 많은 태도로 사회현상을 바라보고 삶의 연륜에서 비롯되는 지혜로 젊은이들과도 소통하고 삶의 문제를 풀어가야 하는데 그게 마음처럼 쉽지가 않다.
 
조그마한 일에도 서운해 하고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으려고 함으로써 젊은이들로부터 빈축을 사기 일수다. 아마도 어른이 되면 자신의 인격을 더 성숙시켜서 후세대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이제는 당연히 대접을 받아야 한다는 어떤 보상심리 같은 것이 작용한 게 아닌가 싶다.
 
우리 한국사회의 특수한 역사적 트라우마로 인한 신경증이 젊은이들과의 관계나 사회 곳곳에서 투사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럴수록 노년의 이성과 감정은 아름다워야 한다. 아니 멋있어야 한다. 후세대들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증까지는 아니더라도 유연하며 너그러운 미소를 머금은 삶의 자세를 보여주어야 한다.

 
20160121_102210_007_resized.jpg▲ 노인들에게는 젊은이들이 깨어나고 현실을 직시하며 올바른 삶의 가치관을 가진 존재로 살아가도록 돕고 이끌어야 할 숭고한 의무가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피곤과 억압으로 힘들어하는 젊은이들에게 지하철에서 자신의 자리를 양보할 수 있는 마음이라면 서로 배려할 수 있는 틈새가 생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공공의 장소나 교통 시설 등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보면 노년의 움직임은 욕망이 꿈틀거리는 모습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거기에는 하이데거가 말하는 공동현존재(Mitdasein)와 같은 인간 고유성을 발견하기 어렵다.
 
하이데거는 “함께 있음”(Mitsein), 곧 “함께”는 존재의 고유한 방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직 인간만이 서로 함께 있을 수 있다”고 보았는데, 지금의 고령사회에서는 노인과 노인, 노인과 젊은이의 공동현존재의 더불어 있음의 삶의 깊이를 말하는 것이 무색해지는 것 같다.
 
경제발전과 민주화라는 두 가지에만 몰입하다가 보니 인간의 인문적 교양(Bildung), 혹은 교양이 있는 인간상을 표방하는 계몽사회를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
 
생존을 위해서 살아왔고 고통스러운 가난을 대물림하지 않기 위해서 자식들을 교육했던 세대라는 것, 그래서 그들은 너무나 많은 것들을 희생했다. 교양과 배려, 공동현존재를 자식들에게 교육하기에는 먹고 사는 문제가 매우 급한 현실로 다가왔을 것이다.
 
이에 대한 결과가 지금 우리 사회에서 타자를 배려하고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관계적 존재를 외면하게 하고 있다. 사실 이러한 현상 자체가 우리의 과거 역사가 안고 있었던 뼈아픈 시간과 경험으로서의 한계상황이었음을 왜 모르겠는가. 그러나 사회가 이렇게 지속하여서는 안 된다.
 
노인들에게는 젊은이들이 깨어나고 현실을 직시하며 올바른 삶의 가치관을 가진 존재로 살아가도록 돕고 이끌어야 할 숭고한 의무가 있다.
 
 김대식 박사
《영성, 우매한 세계에 대한 저항》, 《함석헌의 생철학적 징후들》 등의 저자, 시니어투데이 편집자문위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강사, 종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 함석헌평화포럼 공동대표
타임즈코리아 톡톡뉴스 @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노년의 숭고한 의무와 공동현존재적 삶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