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5(월)

이념보다 생(生)을 앞세우라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2.06.2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이념은 보조물, 인간은 생(生) 그 자체로 존재

▲ 이념은 선도 악도 아니다. 이념이 맡아가진 그 형식 때문에 다만 그렇게 될 뿐이다. 이념은 시대적 산물이다. 또한 존재의 부산물, 삶의 소산물이기도 하다. 아니 조에 부스케(J. Bousquet)의 말을 빌려 말한다면, ‘보조물’에 불과하다. 그것을 마치 주산물인 것처럼 호도하는 것은 인간이 생(生) 그 자체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망각하는 일이 아닌가.



인간은 자신이 경험한 세계의 지평을 벗어날 수가 없다. 또한 인간의 경험은 경험 가능한 세계에 대한 경험일 수밖에 없다. 경험은 경험된 것으로서의 그것, 혹은 그것에 대한 진술이다. 따라서 경험에 대한 인식은 미래를 확정짓지도 단정 짓지도 못한다. 오직 과거와 지금 일어나고 있는 사건에 대한 감각에 대해서만 인식할 수 있을 뿐이다.

그래서 경험은 사건들의 지평이다. 사건에 있어 일어나고 다가오는 지평은 모두에게 동일하지 않다. 동일성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은 사건에 대한 감각적 경험의 절대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험은 경험된 세계에 대한 지평 해석 및 의미의 한계와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타자와 공유된 절대적 지평이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것이 경험을 절대화할 수 없고 경험에 대한 인식을 도그마(dogma)화할 수 없는 까닭이다.

사건과 더불어 의식이 발생하면서 의식이 사건 속에서 현존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사건에 대해서 감각하고 의식할 수 있는 것이다. 좀 더 엄밀하게 말하면 사건은 일어난다기보다 다가오는 것이다. 개별적 인간에게 사건은 다가가서 그 사건의 해명을 요청하는 것이다. 그때 사건 해명을 위한 1차적 조건이 감각적 경험이라는 것이다.

감각적 경험을 의식하고 해명하는 것은 그것을 일반화하는 작업, 즉 이성을 통해 ‘개념화’ 해야만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가 있다. 보편화는 경험한 사건을 해명하기 위한 이성적 행위의 2차적 조건이다.

여기에서 개입되는 것이 인간의 세계관, 가치관, 인생관 등의 어느 일정한 ‘관점’이다. “시간의 연쇄 속에서 우리에게 알려진 것은 우리의 영혼 혹은 마음이 그것에 대해 우리에게 묻자마자 바로 미지의 것이 되어 버린다...”(J. Bousquet, 김관오 옮김, 달몰이, 아르테, 2007, 78쪽)

그러나 관점이 사건을 만나면 몰주체성으로 변한다. 사건 혹은 사건의 경험이 생(生)의 근저를 맴돌면서 주체를 뒤흔들기 때문이다. 

이념 논쟁, 색깔 논쟁으로 정국(政局)이 소모전을 벌이고 있다. 민초들의 삶이 이념에 의해서 좌지우지 되어서는 안 되는 생(生) 그 자체의 존재론적 위치가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이념은 선도 악도 아니다. 이념이 맡아가진 그 형식 때문에 다만 그렇게 될 뿐이다. 이념은 시대적 산물이다. 또한 존재의 부산물, 삶의 소산물이기도 하다. 아니 조에 부스케(J. Bousquet)의 말을 빌려 말한다면, ‘보조물’에 불과하다. 그것을 마치 주산물인 것처럼 호도하는 것은 인간이 생(生) 그 자체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망각하는 일이 아닌가.

이념이라는 것이 삶의 감각적 경험, 그리고 사건으로서의 경험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라면 어떤 이념도 절대화될 수 없다. 하나의 이념은 또 다른 이념과 대립하면서 한쪽을 유배시킨다. 그러나 이념으로 인해서 오히려 생(生) 그 자체가 유배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이념이 생(生)을 강제하는 거짓된 상상력으로 작동하거나, 생(生)이 생(生)되게 하는데 장애가 된다면 이념은 청산해야 한다. 아울러 인간으로 하여금 생을 밀착시키고 사건으로서의 경험 세계의 지평을 확장시키는 사유의식이 있어야 생이 조각나지 않을 것이다.

생에서 이탈하는 사건, 생을 기만하는 의식 속에 있는 나는 과연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조에 부스케의 말을 거듭 인용하면, “인식의 의식은 그의 감정이 향해 있는 모든 것에 대해 도덕적 균형을 만들어야 한다.”(J. Bousquet, 김관오 옮김, 달몰이, 아르테, 2007, 83쪽)

인간은 끊임없는 의식의 고양을 위해 이성과 의식의 깊이로 상승해가야 한다. 의식의 진보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마땅한 것이지만, 이념적 진보나 보수는 필연적이지 않다. 생을 우선으로 여기지 않는 또 다른 이념의 논쟁 역시 자신의 역사적 감각 경험을 절대화하는 우를 범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다시 말하지만 이념은 사건의 해명을 기만하고 생과 사건보다 우선하려는 욕망이 크기 때문에 난만(爛漫)한 이념의 궁핍이야말로 우리가 소유해야 할 권리일지도 모른다. 


김대식 박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강사, 종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 타임즈코리아 편집자문위원. 저서로는 『환경문제와 그리스도교 영성』, 『함석헌의 종교인식과 생태철학』, 『생각과 실천』(공저), 『영성, 우매한 세계에 대한 저항』등이 있다.

타임즈코리아 톡톡뉴스 @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이념보다 생(生)을 앞세우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