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5(월)

주의(ism)가 아니라 사랑이다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2.05.18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절대성으로 힘을 부여받은 주의(ism)는 위험을 초래
해답은 주의(ism)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성육신으로 보여주신 사랑

▲ 이제 이 지구촌 공동체는 모두 일어나 사랑을 노래해야 한다. 이 사랑의 노래가 주의, 이념, 이론, 학설, 교리도 사랑을 위한 리듬이 되게 하는 것이다.


인류의 역사에는 많은 사상이 등장하고, 사라지면서 나름대로의 유익과 폐해를 남겼다. 하지만 인간의 인간됨에 회의가 들 정도의 참혹한 사건들의 이면에는 주의(ism)라는 이념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 세상에는 수많은 주의, 이념, 이론, 학설, 교리들이 자신들의 굴레 속으로 사람들을 끌어드려서는 종속시켜버린다. 여기에 종속 되면 누구나 자기가 소유하게 된 이념이 다른 어떤 것 보다 이상적이며 최고의 가치관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갈등의 씨앗이 되고 전쟁의 불씨가 되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지성의 숲으로 들어간 사람들은 온갖 이즘(ism)과 올로지(ology)의 넝쿨들로 인해 길을 잃고 헤매는 처지가 된 셈이다. 기독교 안에도 엄청난 교파들로 인한 교리가 난무하고 있다. 보편적으로 종교는 평화를 추구한다. 그런데 이념이 앞서게 되면 타종교에 대한 타파를 위해 폭력과 살상이라는 수단도 정당화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진리 되신 하나님을 왜곡된 시야로 해석한 편협한 자기중심적 도그마(dogma)에 갇힌 근본주의적 태도다. 그러면서도 자신이 최고의 신앙인인양 굉장한 착각만큼이나 엄청난 자부심을 가지고 살아간다. 이것이야말로 예수 그리스도를 또 다시 못 박는 행위가 아니겠는가? 긍휼히 여기는 자가 긍휼히 여김을 받는다는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가르침은 사랑이요, 희생이다. 우월적 신념으로 물든 교조주의(dogmatism, 敎條主義)가 아니다. 잘못된 신념과 그에 대한 신봉을 좋은 믿음과 신앙으로 착각하는 오류만큼 우상에 물들어있음을 자각해야 한다.

신념에 빠진 사람들의 행태를 보면 마치 굶주린 맹수가 먹잇감을 물어뜯는 것처럼 이성을 잃어버리고 행동한다.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나 ‘남경대학살’과 같은 2차세계대전의 나치즘과 군국주의의 망령을 보라. 이들에게는 오직 하나만이 전부인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그것 외에는 모든 것이 존재적 가치가 없다는 것이다.

이런 전체주의(全體主義, totalitarianism)적 발상은 오늘 날에도 없어진 줄 알고 방심하는 사이에 발생하는 폐결핵처럼 틈탈 곳을 찾고 있는 듯하다. 진보냐, 보수냐, 여(與)냐, 야(野)냐의 문제가 아니다. 사제 간에도, 대립이 교육을 무너뜨리고 있다. ‘학생인권’ 마땅히 존중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것이 ‘교권’에 대한 대립은 아니다. 매사에 이분법적 구도로 몰아가는 사람들이 문제다.

이념이 무서운 것은 왜곡과 파괴적인 진행 속도가 가히 상상을 초월한다는 것이다. 암이 무서운 것은 생명의 위협이 될 때 비로소 드러난다는 것과 그 전이 속도가 폭발적이라는 것이다. 이념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정상 세포 속에서 평화와 공존의 얼굴을 하고 화합을 이야기한다. 이런 과정에서 진정한 평화와 공존의 생명을 위협하기 위해 서서히 침투한다는 것이다.

권력 추구자들은 이런 속성을 절묘하게 이용할 줄 안다. 권력 추구자들의 개인적 욕망의 달성을 위해 평범한 사람들이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이런 암적 요소를 막아내려면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보라! 성육신은 세상적 논리나 이념에 따른 것이 아니다. 그 자체가 사랑이요, 희생이다. 물론 주의, 이념, 이론, 학설, 교리 자체가 잘못이라는 것이 아니다. 그 필요의 정당성이 주의(ism)를 위한 동원이 아니라 사랑의 실천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도자의 권위, 아버지의 권위, 선생님의 권위는 창조섭리의 질서다. 그러나 권위의 남용으로 인한 권위주의는 암적 요소로 공동체의 생명을 파괴하게 된다. 약자들은 어딘가에 열광함으로써 자신의 모습을 감추고 싶어 한다. 이들을 사랑으로 보살피고 격려함으로써 그 정체성을 회복시켜 주어야 한다. 그래야 창조섭리의 다양함이 아름답게 꽃피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런 생명력도, 아름다운 꽃들의 향연도 볼 수 없는 삭막한 어둠이 몰려오게 된다.

절대성으로 그 힘을 부여받게 되는 주의(ism)의 힘은 그 만큼의 위험을 초래할 뿐이다. 해답은 주의(ism)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성육신으로 보여주신 사랑이다. 폴 틸리히(Paul Tillich)는 “사람은 사랑 없이는 강해질 수 없다. 사랑은 부적절한 감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인생의 피며, 분리된 것을 재결합시키는 힘이다.(One cannot be strong without love. For love is not an irrelevant emotion; it is the blood of life, the power of reunion of the separated.)‘라는 말을 했다. 이제 이 지구촌 공동체는 모두 일어나 사랑을 노래해야 한다. 이 사랑의 노래가 주의, 이념, 이론, 학설, 교리도 사랑을 위한 리듬이 되게 하는 것이다.

최대식 타임즈코리아 편집국장 

타임즈코리아 톡톡뉴스 @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BEST 뉴스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주의(ism)가 아니라 사랑이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