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바가지’ 요금 해도 너무하네”… 신랑·신부 ‘울분’

올해 3월까지 접수된 민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32% 상승

입력 : 2024.07.18
업계별 민원 현황

 

 

[타임즈코리아] ‘웨딩업’ 관련 민원이 증가세로 올해 1월에서 3월 접수된 민원이 전년 동기 대비 약 3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최근 ‘웨딩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하는 등 청년층의 결혼 준비 부담이 증가하고 웨딩업 관련 민원 건수도 상승함에 따라 관련 민원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발표했다.

우선, 최근 3년간(2021년 4월~2024년 3월)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 수집된 웨딩업 관련 민원은 1,010건으로, 업계별로는 예식장업이, 내용별로는 예식장 이용, 결혼 준비 대행과 같은 계약 관련 민원이 전체 민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민원유형별로 보면 업계별로는 예식장업(514건) ▴결혼 준비 대행업(144건) ▴촬영업(143건) ▴드레스·예복·한복업(67건) ▴미용업(22건) 순이며, 소비자 불편 및 피해 내용별로는 ▴계약해제(397건) ▴계약불이행(293건) ▴비용(176건) 순이다.

민원 신청인은 남성이 52.2%, 여성이 47.8%를 차지했고, 평균 초혼 연령이 속한 30대가 전체의 61.4%를 차지했다.

‘예식장업’ 관련 주요 민원 내용으로는 예식장 이용 계약해제 시 과다한 위약금 청구 ▴ 서비스 품질 미흡 ▴ 끼워팔기, 보증 인원에 소인 불포함 등 비용 관련 내용이 있었다.

‘결혼 준비 대행업(웨딩컨설팅)’과 관련해서는 ▴결혼설계사(웨딩플래너) 변경으로 인한 결혼 준비 대행 계약해제 시 계약금 환급 거부 ▴ 연계업체에 대금 미지급 ▴ 불투명한 가격정보 및 결혼설계사와 소비자 간 정보 불균형 등에 대한 민원이 제기됐다.

‘촬영업’ 관련 주요 민원 사례로는 ▴ 촬영 후 결과물 미제공 ▴ 수정할 사진 선택·결제 후 사진 매수 변경 불가 ▴ 추가금 사전 고지 미흡 등이 있었다.

‘드레스·예복·한복(대여·제작)업’과 관련해서는 방문판매법상 청약철회권 제한 ▴ 드레스 도우미·가봉 비용 현금 결제 요구 및 현금영수증 미발급 ▴ 추가금 사전 고지 미흡 등 민원이 제기됐다.

웨딩업 전반에 대해서는 결혼 준비 비용 상승 부담을 호소하는 민원 등이 접수됐다.

국민권익위는 이번 웨딩업 관련 민원 분석 결과를 공정거래위원회, 한국소비자원 등 관계기관에 전달해 결혼 준비 대행업 표준약관 마련, 결혼 서비스 가격 표시제 도입 등 웨딩업 소비자 권익 향상을 위한 업무 추진에 참고하도록 할 계획이다.
최대식 기자 tok@timesofkorea.com
© 타임즈코리아 & timesofkorea.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한국뉴스 많이 본 기사

  1. 12024년 해외 OTT 시장조사 및 이용행태조사 결과 발표
  2. 2해양수산부, 김에 이어 ‘굴’도 대표 수출상품으로... 세계 굴 1위 수출국가에 도전한다
  3. 3국토교통부, 해외건설 누적수주 1조 달러 달성
  4. 4세계 최고 K-조선을 위해 조선해양인 맞손
  5. 5지방소멸 방지를 위한 차세대 교통수단 UAM 활성화에 나선다!
  6. 6한강 위에 새겨진 생명 메시지,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7. 7‘탑 위에 탑’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국보 지정
  8. 8취약계층 어려움 느는데…햇살론 등 서민금융 거절률 급증
  9. 9환경부, 국립공원 새해맞이 산행 시 안전수칙 준수해야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결혼식 ‘바가지’ 요금 해도 너무하네”… 신랑·신부 ‘울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